Essays


서영덕: 묵고默考 MEDITATION

서경아 (성남문화재단 전시기획부 과장)

성남아트센터 큐브미술관은 지역의 청년작가를 발굴 지원하는 2017성남청년작가전 두번째로 조각가 서영덕의 개인전을 마련하였다. <서영덕: 묵고默考 Meditation>은 번잡한 현대사회 속에 침묵과 고요가 전하는 위로를 주제로 한다. 체인과 용접술을 주재료와 작법(作法)으로 인체를 조형화하는 조각가 서영덕은 2008년 전국 대학・대학원생조각대전에서 대상을 수상하며 화려하게 등장했다. 이후 현재까지 10여 년간 40여회의 개인전과 그룹전 개최를 통해 꾸준히 작업을 이어가고 있으며 특히 해외에서 주목받는 작가로 성장하고 있다.

작업실에서 만난 작가 서영덕은 땀소금 베인 질척한 셔츠와 손가락 끝 실오라기가 풀린 헤진 목장갑을 끼고 한창 작업에 몰두하고 있었다. 그의 손길을 기다리는 수만 조각의 체인들이 바닥에 수북이 쌓여있었고 이미 용접된 체인들이 등분된 인체 틀 위에 얹혀 있었다. 열기와 뒤섞인 용접가스냄새가 작업실을 매캐하게 채우고 있었다. 좁은 작업실 한편에 자리한 흡사 ‘해부학교실’에서나 볼 수 있는 인체 구조물들이 없었더라면 어김없이 그의 작업실은 그저 철공소나 대장간이었다. 투박한 재료, 투박한 기법이라 하기엔 작품에서 보여지는 지극히 섬세한 인체의 선(僐)은 고치에서 나비날 듯 그렇게 탄생되고 있었다.

 ‘체인은 속박이다’

작가가 체인을 만나게 된 것은 대학원 재학 시절이었다. 앞서 시작된, ‘인체’에 대한 관심으로 돌, 흙, 쇠, 나무, 플라스틱 등 온갖 재료를 망라하며 대입(代入)하고 실험했지만 자신의 미적 욕구를 채우기엔 부족했다. 막연한 아쉬움과 갈증으로 하루하루 고민하던 어느 날, 작가의 시선은 우연케도 너부러져있던 체인에 꽂히게 된다. 그저 부속품으로 기계적 시간을 살다 녹슨 채 버려져 있던 그 모습은 마치 사회의 틀에 끼워져 수동적 삶을 살아가는 이 시대의 고단한 군상과도 같았다.

 체인과의 만남은 ‘금지’ 혹은 ‘박탈’에 대한 작가의 평소 사고를 ‘찢음’과 ‘엮음’으로 노골화하게 했다. 번뇌는 찢긴 팔다리, 찢긴 얼굴, 그리고 찢기다 못해 바스러지는 몸체로 드러났다. 구더기가 들끓는 듯한 육신의 내부는 더욱 고약하다. 녹아내린 용접의 상흔으로 내면의 고통을 여과 없이 드러냈다. 작가는 또한 ‘엮음’으로 이탈을 용인하지 않는 사회적 구속을 역설했다. 사회가 주장하는 자유(自由)란 그럴듯한 포장일 뿐이며 그 안에서 자유는 결코 자유롭지 못한 자유(自幽)이기 때문이다. 스스로를 가두고 숨기는, 이른바 ‘회색인간’을 종용받는다. 결국, 자유(自由)는 개개인이 감내해야할 고통과 비례한다는 것. 이는 작가 스스로의 고통이자, 사회 굴레 속에서 감정이 통제된 채 삶의 끝을 향해 나란히 걷고 있는 우리의 고통이기도 하다. ‘학습’하에 있던 수련생으로서 좀 더 눈에 띌 그로테스크를 표현하려 했을 뿐이라는 것이 작가의 겸손한 변(辯)이나, 동시에 사회에 대한, 현실에 대한, 작가로서의 삶에 대한 온갖 번뇌가 치기와 함께 뒤섞이는 시기였음이다.

 밖을 향한 외침에서 내면의 소통으로 진화하다.
 근작은 그가 조금은 더 청년이었던 시절의 전작들과 달리 대단히 고요해졌음을 본다. ‘보다 자극적임’을 향해있던 조형적 포인트는 이제 온건해지고 정제되었다. 사회를 향한 항거에서 위태로운 ‘나’를, ‘우리’를 위한 위로로 변화되었다. 출품작 중 가부좌를 튼 채 양손을 하품중생(下品中生)의 수인(手印)으로 양 무릎에 올려놓은 형태의 좌상(Meditation 210, 2016, 77×71×95cm, Stainless chain)은 이번 전시를 관통하는 대표작이다. 1963년 정부의 불교탄압에 소신공양(燒身供養)으로 저항하며 그 의지를 세계에 알렸던 베트남의 승려 틱꽝득(Thích Quảng Ðức /釋廣德, 1897년~1963년)으로부터 영감을 받았다.

당시 분신을 통해 육체의 집착을 넘어서며 외적 탄압문제로부터의 자유, 내적 깨달음에 대한 자유를 보여준 위대한 사건이었다. 어릴적부터 불교에 관심이 많던 작가는 타들어 가는 육신을 한 치의 흐트러짐 없이 묵묵히 받아들이던 승려의 모습을 통한 형언할 수 없는 충격적 경험으로 자기성찰에 관해 집중하게 된다. 가부좌상작은 작가의 심리적 진화에 대한 결정작으로 구품인 중 죄의 뉘우침과 올바른 깨달음이 담긴 하품중생수인을 얹음으로서 의미를 더하고 있다.

 작품이 팔리고, 명성을 얻고, 동시에 작업실과 스태프 그리고 가정을 꾸리게 되었다. 이제 작가는 다른 각도의 번뇌를 안고 작업에 몰두한다. 인기는 더 많은 작품을 요구하고, 더 많은 작품은 더 큰 작업실과 더 많은 스태프를 필요로 한다. 혼자여서 외로웠지만, 혼자여서 자유로울 수 있었던 작업은 이제 자본주의 환경 속의 여러 가지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고통이 깨달음을 위한 과정이듯 질풍을 거쳐 순풍을 만나듯, 그렇게 서영덕은 성숙해간다.

그의 작업은 철저히 노동집약적이다.
작품 제목에서는 종종 숫자를 볼 수 있다. Anguish 385, Meditation 975 등과 같은 것이 그것이다. 작품에 사용된 재료의 총길이다. 수백 미터의 체인을 일일이 끊어내었다 다시금 붙여낸다. 그저 참선하듯 말없이 수만 개의 체인조각을 하나씩 붙여간다. 거푸집에 녹여 붙인 한 조각 한 조각은 인체의 부분이 되어간다. 마지막 조각이 붙여지고 껍데기 틀을 뜯어내는 순간 열반에 다다른 듯 온전한 인체가 탄생한다. 짧게는 1주일, 길게는 한 달여에 걸친 이 지루하고도 고된 과정을 거친다. 재료는 원석과도 같다. 고달픔은 불이 되고 망치가 되고 연마기가 되어 잘 세공된 보석 같은 작품을 대중 앞에 내어놓는다. 그렇게 한 점 완성되는 순간 인생과의 대화 한 장을 맺음한다.

 “이해하려 들지 마라, 의미는 무의미한 것이다.”
  – 백진스키(Zdzislaw Beksinski, 폴란드, 1929-2005)

작품은 보는 이로 하여금 헤아림에 있어 긴 시간을 필요케 하지 않는다. 관객과 직설적으로 대면한다. 짧은 대면이 지나면 이내 대면의 대상은 자신으로 교차된다. 묵고는 침묵의 내적 형상이다. 조용한 가운데 내안에선 오랜 시간 자신을 다스리기 위한 사투가 벌어진다. 묵고는 깊고 복잡하며 격렬하고 때론 처절하다. 문득 깨었을 때, 관객은 작품과 물아일체(物我一體)의 순간을 맞는다.

 “때로 저의 작업은 부모님의 시각을 기준하기도 합니다. 부모님께서 이해하실 수 있는 작품이라면 모든 분들이 이해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입니다. 저의 작품이 어렵게 전달되는 것을 바라지 않습니다. 그저 쉽게 닿기를 바랍니다.”(서영덕)

 예술의 경지에 이르기까지의 길이 참으로 어렵다고 작가는 말한다. 개념의 산도 넘고, 관념의 산도 넘고, 내면의 산도 넘어야 한다. 작품을 받아들이기까지 만나야 하는 수많은 념(念)들이 불편하다. 시대적 상황 등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배움이 적은 어르신들, 사회경제적 상황으로 인해 여유가 없던 이들에게도 작품을 받아들이는 것이 자연스럽기를 바란다. 설명은 굳이 불필요하다. 작품을 마주한 후의 해석과 사색은 오롯이 보는 이의 몫이기 때문이다. 눈을 감고 입을 닫고 귀를 지웠다. 침묵이고, 정적이다.

SEO YOUNG DEOK: MEDITATION

KYEONG AH SEO (EXHIBITION PLANNING MANAGER, SEONGNAM CULTURAL FOUNDATION)

Cube Art Museum of Seongnam Art Center has appointed sculptor Seo Young Deok to hold his solo exhibition as the second runner of ‘2017 Seongnam Young Artist Project’. The center aims to discover and cultivate local young artists. The exhibition ‘Seo Young Deok: Meditation’ addresses the contrast between the consolation from stillness and the chaos from our modern chaotic society. Sculptor Seo mainly uses welded chains to shape the human body. He made a brilliant debut, winning the 1st place at the National Sculpture Competition for Undergraduates and Graduates in 2008. Since then, he has been pursuing his artistic career steadily, holding about forty exhibitions and establishing himself as an outstanding artist, especially overseas.


Seo, in a sweaty shirt, is deeply immersed in his work when I visit his studio. As he puts on his gloves, I notice the worn out fingertips unraveling. Hundreds and thousands of chain links are piled on the floor, waiting for his touch. Nearby, lumps of welded chains sit in molds, comprising different sections of the body. His welding activity has generated smoke, gas, and heat, and these elements fill the air. Had it not been for the manikins typically seen in places like anatomy labs, his studio would have seemed to be an ordinary smithery or ironworks. Though the material rough and technique intense, the delicacy visible in his sculpted parts seem like butterflies emerging from their cocoon.

‘Chains as a State of Restraint’
The sculptor first encountered chains as a postgraduate. He had already held interest in the human body and had been searching for the right material to use. He had experimented all sorts of mediums, including stone, clay, steel, wood, plastic, etc. Nothing met his aesthetic expectations. Swinging between thirst and frustration, he did not give up. One day, he came across a pile of dumped chains. It must have once lived as a part of machine, rusted, and now ended up here. To him, it seemed like a group of today’s worn-out people who had been put in the machine called ‘society,’ continuing on passively.

This encounter with the metal rings triggered him to express his thoughts about ‘forbiddance’ and ‘deprivation’ in the imagery of ‘linking’ and ‘ripping.’ In his works, anguish is represented through ripped limbs, heads, and crumbled bodies. What is more jarring is the inside of the body which looks as if it is swarming with maggots. Welded melted wounds signify our inner agony. The artist also shows, through ‘linking’, social restraints that never allow us to break away. The liberty asserted by the industrialized society is a superficial chant and is not liberal at all because it ends up self locking. We are compelled to be a ‘gray man’ who has to mask his/her own unique identity as an individual. After all, freedom in the modern era is relative to the sufferings that each individual has to bear. This agony is what the artist himself suffers, as well as what we suffer. Our emotions are regulated by society, which is the common destiny of modern people. The artist humbly said he had just needed something grotesque to attract attention in the training course. However, it is clear that he was indeed intensely tangling with young but serious worries about society, reality, and his own life as an artist at that time.

From Crying Out to Inner Peace
Seo’s recent works relay great tranquility, which is different from his previous works. His sculptural focus was once on ‘more provocative’ ideas and now is more ‘moderate and refined.’ Social resistance has changed into consolation to ‘me’ and ‘us’ in a precarious position. Of the works, Meditation 210 (2016, 77×71×95cm, Stainless chain), a seated statue with the Mudra Hand gesture of the Buddha of the Middle Level of the Lowest Grade In Amida Buddhism, people are reborn into one of the nine levels of Pure Land, depending on the levels of their good deeds in their previous lives. on its knees, is the main thread of this exhibition. It was inspired by a Vietnamese Buddhist monk Thích Quảng Ðức (1897~1963), who had astonished the world by burning himself to death to protest the government’s persecution of the Buddhists in 1963.

His self-immolation had profound meaning. It was not only about freedom from the external oppression, but also about freedom through spiritual enlightenment and about overcoming an obsession with the body. The artist had been interested in the Buddhism since childhood. He was indescribably shocked to see the bonze keep untroubled and calm while his body was burning. Seo was captivated by self enlightenment. The sitting statue with his legs crossed, whose Mudra of the Middle Level of the Lowest Grade means repentance and right enlightenment, is the result of the artist’s spiritual progress.

Artworks were sold. Fame was earned. A studio and staff was built. He started his own family. His worries now are different from what they used to be. Popularity demands more sculptures and more sculptures require a bigger studio and more staff. Once lonely but working freely because alone, he must now consider various factors under a capitalistic environment. Just as pain is a part of the process of enlightenment, Seo is maturing in the way a breeze comes after a windstorm.


Thorough and Labor-Intensive Process
Numbers are often found in the titles of Seo’s sculptures (for example, Anguish 385 and Meditation 975). These numbers indicate the total length of the material used in the sculpture. He disjoints every link of a-few-hundred-meter chain and fixes a link to another. He sticks tens of thousands of links one by one in silence as if he is in Zen meditation. Each link is put into a cast, becomes stuck to another, and comprises a part of the whole body. When the last link is added, and the cast is taken off, he enters Nirvana, and the complete body is newly born. This arduous process takes about a week to a month. Material is an ore. A finely worked gem is unveiled to the public after the weary process of being melted, hammered, grinded, and polished. A dialogue with Life comes to an end when a piece of sculpture is done.


 Do not try to understand. Meaning is meaningless.
- Zdzislaw Beksinski, Poland, 1929-2005


Viewing an artwork does not require a long list of references. A viewer experiences an artwork by relying on intuition. After a short encounter, the object crosses internally into the viewer. Meditation is an inner image of silence. In that quietude, a struggle to control him/herself goes on for a while. Meditation is deep, complicated, intense, and sometimes desperate. Suddenly the viewer awakes and realizes unity with the sculpture.


”Sometimes my work stands on the basis of how my parents would view the work. If they can feel and understand the work, perhaps so can everybody else. I don’t want people to think of my sculptures as difficult. I hope it reaches people with ease.” — Seo Young Deok

It is difficult to elevate a sculpture to the pinnacle of art, he says. He has to pass through an uphill of cognition, an uphill of idea, and an uphill of his deeper insides. He feels unease at those countless thoughts he has to encounter until he completes a sculpture. On the other hand, he wants his sculptures to be straightforwardly treated by those who are not able to visit a gallery because of their social/economic circumstances, or by the elder who received little education due to historical adversities. Explanations are unnecessary. The interpretation of a sculpture is entirely up to the viewer. The eyes are closed, mouth is shut, ears are erased. It is silence, it is still.

 

 

회색인간

빅토르 코캣 (victoire coquet)

“자연으로부터 개인을 절단해내어 가공된 환경에 속박시키는 문명, 생산과 소비를 분리시키고 생산 과정에서 무언가를 창조한다는 감정을 말살해버리는 문명에서, 예술은 무엇이 될 수 있을까? [...] 나무가 꽃을 피우듯이 사회는 예술이라는 꽃을 피운다. 예술은 사회로 하여금 그 어떤 누구도 완전히 자신의 것으로 만들지 못하는 이 세계에 뿌리를 내리게 한다.”
- 클로드 레비스트로스, 『구조인류학(STRUCTURAL ANTHROPOLOGY』, 1973

서영덕은 자신이 살고 있는 세계의 섬세한 관찰자이다. 그는 서울시립대 환경조각학과를 졸업한 이래, 한 명의 민족학 학자로서 도시의 삶을 탐사하고 분석해왔다. 포스트모던 문명의 상징인 서울은 영감의 원천이라고 할 수 있다. 서영덕은 작품을 통해, 방향감각을 잃어버리고 자신이 있어야할 자리를 찾지 못하는 인간이 사는 사회를 묘사한다.

1980년대 후반, 한국에서는 예술적 갱생 운동이 시작되었다. 한국의 예술가들은 군부 독재가 무너져 내리던 시기에 민주주의를 열망하며 예술을 혁신하는 작업에 뛰어들었다. 그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민중미술은 민중을 위한 예술을 지지했다. 시련에 부딪히고 변화해가는 민중의 현실을 묘사하고 표현해야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으면서, 한국미술은 추상미술에서 구상미술로 나아갔다. 서영덕이라는 예술가가 나타날 수 있었던 것은 과거의 한국에 바로 그러한 예술 운동이 있었기 때문이다. 민중미술은 근대 세계의 결함들로부터 아름다움을 추출해냈으며 그 결과 새로운 세대를 생산했다. 서영덕은 한 치의 망설임 없이 현실에 뿌리를 박고, 민중미술에 그 뿌리를 둔 대의에 전념한다. 그의 목표는 쇠와 스테인리스 철 조각으로 전체 세계를 묘사해내는 것이다.

오늘날의 도시인은 스스로가 만들어낸 현실에 숨 막힐 정도로 압도당하고 있다. 도시의 자유는 개인과 그 개인이 살아가는 공간이 맺는 객관적인 관계에서 태어난다. 그러한 자유란 도시의 적대적인 환경 앞에서 한없이 연약하고 파리할 수밖에 없다. 자연은 족쇄를 차고, 길들여져, 결국 기계로 전락한다. 이러한 거대한 도시 생태계 속의 자연은 인간을 하나의 톱니바퀴로 취급할 뿐이다. 재료는 이러한 날것 그대로의 현실과 유희하고, 그것을 변형하고, 그것에 목소리를 부여하고 싶어 하는 작가의 욕망을 목격한다. 서영덕은 서구의 직선적인 작업과는 전혀 거리가 먼, 순환적인 창작 과정을 거친다. 그는 자신의 영혼을 비추는 작품들을 통해, 족쇄에 묶여 고통스러워하는 포스트모던 사회에 근본적인 물음을 던진다. 그의 재료는 구성요소가 하나둘 모여 작품을 구성하고 메시지를 만들어내는 한국의 예술적 전통을 따른다고 할 수 있다.

여기서 쇠사슬은 이중적이고 복잡한 관념을 나타낸다. 쇠사슬은 인간이 이룩한 기술력의 상징이자 동시에 인간을 구속시킨 장본인이다. 쇠사슬은 차가우면서도 관능적이다. 서로에게 엮인 쇠사슬은 일관적이고 아름다운 모습을 가진 전체를 형성한다. 바로 이러한 연결고리들의 망이 서영덕의 특징이다. 쇠사슬은 움직이고 서로 얽히고설켜 들어가면서 뜻밖의 모습과 공간을 만들어낸다. 쇠사슬은 오로지 고리들 서로의 결속에 의해 구속당할 뿐이다. 현대의 인간이 그러하듯이 서영덕은 목소리를 잃어버린 사회의 대변자들을 조각한다. 눈과 입술을 굳게 닫은 이들은 만성적인 질병을 일으키는 균에게 갉아 먹힌다. 말없이 고통 받는 이들의 몸은 우아하고, 탄력이 넘치며, 날씬하다. 노동과 아픔으로 가득한 차갑고 추한 세계 속에서 따뜻하고 인간적인 아름다움이 빛난다. 이것은 한 가닥 생명의 숨결과 같다. 쇠사슬은 세포가 되고, 형상은 갸날프고 친숙한 모습을 띤다.

철로 만든 창조물은 생명을 얻는다. 작가의 조각은 거울의 역할을 한다. 우리는 고통 받고, 그럼에도 계속 살아가고, 때로는 탈주하는 우리 자신의 모습을 본다. 작가는 보편적인 인간적 감정들, 우리를 더욱 가깝게 만들어주는 차이들을 다룬다. 얼굴 없는 조각들은 감정을 전달하는 데 아무런 장애가 없다. 인식은 항상 우리의 몸으로부터 시작하기 때문이다. 우리의 시선은 겉으로 보이는 쇠사슬과 근육, 곡선과 긴장의 이면 속으로 끌려들어 간다. 절단되고 상처 입은 몸에 우리 자신의 공포와 불안, 질병이 그대로 모습을 드러낸다. 우리는 이 조각들이 품고 있는 불완전성에 자극되고 그것에 사로잡힌다. 서영덕은 날카로운 시선으로 우리의 몸이 숨기고 있는 것과 우리의 몸을 고문하는 것을 포착하는 데 성공한다.

사람들이 지각하는 것은 바로 이러한 친숙한 느낌, 즉 보편성의 외침이다. 인간적인 어떤 것이 쇠로 된 몸과 얼굴을 통해 드러난다면, 그것은 분명 작가의 숙련된 섬세함에 기인한다. 얼굴 없는, 말 없는 메시지가 거기에 있다. 넌지시 던져진 채로. 서영덕은 재료를 자기 것으로 만들고 그것에 새로운 생명을 불어넣는다.

The Gray man

VICTOIRE COQUET

“WHAT CAN ART BECOME IN A CIVILIZATION WHICH, CUTTING THE INDIVIDUAL OFF FROM NATURE AND CONSTRAINING HIM TO LIVE IN A FABRICATED ENVIRONMENT, DISSOCIATES CONSUMPTION FROM PRODUCTION, AND DRAINS THE LATTER OF CREATIVE FEELING? [...] A SOCIETY BEARS ITS ART LIKE A TREE ITS FLOWERS, AS A FUNCTION OF THEIR BEING ROOTED IN A WORLD WHICH NEITHER ONE NOR THE OTHER CLAIMS TO MAKE ENTIRELY ITS OWN.”
- CLAUDE LÉVI-STRAUSS, ANTHROPOLOGIE STRUCTURALE DEUX, 1973

Seo Young-Deok is a fine observer of the world he lives in. Since graduating from the University of Seoul with a degree in Environmental Sculpture, he has been probing and analysing urban life as an ethnologist. A symbol of post-modern civilization, the city is an inspiration. Through his artworks, Seo Young-Deok depicts a disoriented society where man cannot find his place.

In the late 1980’s, a wave of artistic renewal developed in Korea. Aspiring to more democracy after the fall of the military regime, Korean artists got involved and started innovating: amongst them, the Minjung Misol stood for the art of the people. Korean art moved from the abstract to the figurative, fuelled by the urge to express and depict a changing and troubled national reality. Seo Young-Deok ascribes to such a movement, extracting beauty from the flaws of the modern world which produced this new generation. At once anchored in the real and committed to the cause, the artist aims to portray the entire world with creatures of iron and stainless steel.

Today’s urban denizen is overwhelmed, stifled by a reality of his own making. Freedom, born from the objec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ividual and the space he inhabits, becomes fragile and anaemic in this hostile environment. Nature is shattered, domesticated, reduced to a machine; and she uses mankind as a mere cog in this immense apparatus of life. The material used by the artist bears witness to his desire to play with the real, the raw; transforming it; giving voice to it. He uses a circular creative process, far from any Western linearity. He questions post-modern society with works that reflect his soul, suffering and fettered. The materials used comply with the Korean artistic tradition, where the components used, visible or not, make up the work and its message.

Here, chains represent ambivalent and complex ideas; both the symbol of man’s technical power and the cause of his confinement, they are cold and sensual. The interlaced chains form a beautiful and coherent whole, giving shape to Seo Young-Deok’s characters thanks to a network of connections. Through serendipitous shapes and spaces, these chains move and intertwine, the only constraint being their bond – just like with men and women today.

Seo Young-Deok sculpts the spokespeople of a society that has lost its voice. Eyes and mouths shut tight, they carry the germ of a chronical disease that gnaws at them, consumes them. In this speechless suffering, bodies remain elegant, supple, slender. In the ugliness inherent to a cold world of labour and pain, a warm and humane beauty shines through, a breath of life. Chains become cells; the figure fragile and familiar.

The iron creature comes to life. The artist’s sculptures act as a mirror: we see ourselves suffer, carry on and – sometimes – break free. The artist works with universal human emotions, with the very differences that bring us closer. The absence of a face in certain sculptures in no way hinders the emotion conveyed: identification always starts with our bodies. We are invited to look beyond the chains, muscles, curves and tensions. In bodies hurt and mutilated, our own fears, anxieties and ills reappear. We partake in the persistent feeling of incompleteness provoked by these sculptures. With his sharp gaze, Seo Young-Deok manages to reveal what our bodies hide and what torments them.

It is this universality, this familiar feeling that calls out to those who perceive it. If something human somehow appears through these iron bodies and faces, it doubtlessly derives from the artist’s skilled meticulousness. Faceless and speechless, the message is present, suggested. Seo Young-Deok makes the material his own and breathes new life into it.

 

 

서영덕 | MODERN LIFE

마르코 이쫄리노 (marco izzolino) | 화이트룸 | 이탈리아

이탈리아에서 나폴리 만을 끼고 있는 카프리 섬에서 서영덕 작가의 초대전이 열린다. 카프리에서의 전시는 처음일뿐더러, 이탈리아에서의 전시는 조각가인 서영덕에게 뜻깊은 도전이다. 서영덕에게 이탈리아는 새로운 관념과 영감을 좇는 길고 긴 여행의 기착지이자, 동시에 자신이 태어난 곳과는 매우 다른 예술 문화를 만나는 곳이다. 하지만 서영덕은 이탈리아와의 첫 만남을 순조롭게 시작했다.

서양의 ‘고전’ 조각과 건축이 태어난 발상지, 이탈리아에 한국의 젊은 조각가가 방문한다. 그리고 서영덕의 작품은 그가 서양의 고전 조각에 매우 관심을 갖고 있다는 사실을 드러낸다. 하지만 서영덕이 가진 조각 작업의 출발점이나 구상은 서양의 것과는 분명 반대되는 것이다. 서영덕의 첫 전시가 열린 이탈리아 카프리의 ‘화이트룸(White Room)’은 분명 서영덕과 서양 고전 예술 간의 만남을 의미심장한 것으로 만들기에 충분한 장소이다. 안토니 곰리(Antony Gormley)―평론가들이 종종 서영덕을 이 작가와 비교하곤 한다―와 같은 서양 작가와 서양 고전 예술과의 연결성이라면 자연스럽게 생각될 수 있겠지만, 동양의 작가인 서영덕과 서양 고대 예술과의 연결성은 쉽게 떠올리기 힘들다.

서영덕의 체인 조각 작품은 많은 것들을 암시하지만, 그 중에서도 그의 작품이 서양 세계와 연결되는 또 다른 지점에 주목하고 싶다. 곰리와 달리 서영덕은 ‘후반 제작(Post-production)’의 언어를 사용한다. 1980년 이후에 태어난 세대들 사이에서 유행했던 언어로서 현실을 읽고 해석하는 도구로 사용되었다. 서영덕은 체인(일반 체인 또는 자전거 체인)과 같은 산업 재료의 용도를 재설정하고, 고도의 조립 기술을 사용함으로써 체인을 세계를 묘사하는 기본 재료로 변화시킬 수 있다.

니콜라 부리오(Nicolas Bourriaud)는 90년대 예술의 실제에 대해 말하면서 ‘후반작업 (post-production: 원래는 영화에서 촬영을 모두 마친 후 하는 편집, 색보정, 특수효과 등의 작업을 가리키나, 니콜라 부리오는 이미 만들어진 문화적 재료들을 가지고 하나의 새로운 작품을 만들어내는, 당대의 예술 작업이 가진 특징을 부각시키기 위한 용어로 사용하였다)’이라는 개념을 도입한 바 있다. 니콜라스에 따르면 ‘후반작업’이야말로 정보화 시대의 글로벌 문화라는 카오스에 대처할 수 있는 가장 적절한 방법이다. 서영덕에게 있어 체인들 사이의 연결은 가능성들이 끝없이 범람하는 카오스 속에서 엄청나게 복잡해지고 있는 정보들이 서로 연결되는 것을 의미하는 하나의 은유이다.

서영덕은 정보의 조각들을 뭉치고 응축시켜서 이야기들, 사람들의 이야기들, ‘인간적인’ 이야기들 담고 있는 조각을 보여주고 싶어 하는 것처럼 보인다. 또한 체인들 사이의 연결과 정보 조각들 사이의 연결은 뇌 회로 속에서 일어나는 상호작용들을 가리키기도 한다. 서양의 고전 조각과 서영덕의 접점은 사람들이 공감할 수 있는 이야기를 담은 작품을 만들어내는 그의 능력에 있다. 고전 조각은 인체만으로도 매우 다양한 범위의 감정을 표현할 수 있다. 이것은 그리스, 로마, 르네상스, 바로크 시대 등등의 흉상만 보아도 충분히 알 수 있다. 흉상은 인체의 한 부분일 뿐이지만 드러나지 않은 나머지 전체의 근육의 긴장과 감정, 동작을 완벽하게 담고 있다. 예술사가인 에른스트 곰브리치(Ernst Gombrich)는 예술가가 묘사한 형상에서 관람객이 가장 먼저 공감을 느끼는 부분은 정말로 근육의 모습이라고 주장한 바 있다. 긴장된 근육의 모습은 관람객에게 영감을 불어넣는다. 서영덕은 또한 관객들에게 그러한 근육반응을 자극시킨다. 서영덕의 남성 조각들과 여성 조각들은 모두 고전적인 조각처럼 나체를 하고 있다. 이들의 육체에 나타난 동작과 감정에 관객들이 공감한다. 얼굴 없는 형상들은 고도의 기술 문명 시대에서 쉴 틈 없는 삶을 살고 있는 사람들의 깊은 비애를 드러낸다.

서영덕의 조각과 서양의 고전 조각 간의 차이는 재료와 조각 기법에 있다. 레온 바티스타 알베르티(Leon Battista Alberti)는 르네상스 시대에 최초로 「조각에 관하여(“De Statua”)」라는 논문을 저술하여 과거에 사용됐던 조각 기법을 당대의 사람들에게 설명했다. 알베르티는 완전히 다른 두 종류의 접근방식에 대해 말한다. 하나는 ‘덧붙이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덜어내는 것’이다. 첫 번째 방식은 ‘소조塑造(plastic)’라고 불리며, 주로 점토, 밀랍, 석고 등과 같이 가소성이 있는 재료를 조각할 때 사용한다. 후자는 돌조각에 사용된다. 알베르티의 이러한 설명은 조각은 ‘덜어내어 만드는 것’이고, ‘덧붙여서 만드는 것은 회화와 비슷하다’는 미켈란젤로의 생각과도 유사해서 더더욱 유명해졌다.

반면 서영덕은 손으로 형태를 빚을 수 없는 단단한 재료를 덧붙여서 만드는 조각 기법을 발명해냈다. 서영덕의 위대한 근대적 예술성은 바로 이러한 기술적인 특징에 있다. 그러한 재료와 기법을 사용해서 고전적인 조각상에 강렬한 감정을 담을 수 있는 서영덕의 능력은 오로지 고도의 기술 사회에서만 가능한 것이다.

SEO YOUNG DEOK | MODERN LIFe

MARCO IZZOLINO | WHITE ROOM | ITALY

Italy, and in particular the Bay of Naples with Capri, where Seo Young Deok exhibits for the first time, is an important challenge for his sculpture: it is the landing point of a very long conceptual and inspirational journey and, at the same time, it is the place to meet an artistic culture so much different from his native one, but with which Seo Young Deok has started a fruitful relationship. A young Korean sculptor arrives in the geographical area where the Roman culture met the Greek culture – by laying the foundations to spread the “classical” into the western sculpture and architecture – and, in his works, he proves to be very interested in the (western) classical sculpture, but whose observation and starting points of his model works remain definitely opposite to the western ones.

His first exhibition in Italy, at the White Room in Capri, can be the place to highlight Seo Young Deok’s interaction with the (western) classical which, if it may be expected for a western artist like Antony Gormley – to whom the Korean artist has often been compared by critics – must absolutely not be taken for granted for him.

This interaction with the western world seems to be another of the many connections to which the artist alludes by using the chains forming his sculptures. Unlike Gormley, Seo Young Deok uses the “post-production” language, prevalent in those generations born after 1980, as a tool to read and to interpret reality: by repurposing an industrial material such as chains (either standard or bike chains), with a highly skilled assembly technique, he is able to turn them into the basis and material to describe the world.

As Nicolas Bourriad himself maintained – by introducing the concept of “post-production” when speaking of the artistic practice in the 90s – this is the most suitable method to react to the chaos of global culture during the information era. To Seo Young Deok, the connections between chains are a metaphor of the connections between the pieces of information, that – in this century – have been getting greatly complicated due to the endless chaos of possibilities.

He seems to be willing to represent the way in which pieces of information thicken, condense and create shapes that can tell stories… people’s stories… “human” stories. The connections between chains and those between pieces of information also refer to the exchanges within the brain circuits.

The contact point with the western classical sculpture is in the ability of his works to tell stories that people can identify themselves with. Classical sculpture can express a very broad range of feelings just by representing the human body; it suffice to observe a classical (Greek, Roman, Renaissance or Baroque, and so on) bust to realize that it is the portion which is able to represent the whole, through emotions or actions that are reflected in the muscle tension of the whole body. The art historian Ernst Gombrich maintained that the starting point of the viewer’s identification with the figures portrayed by artists is actually in the muscular response that they inspire to viewers. Also Seo Young Deok inspires such a response in his viewers: his men and his women are all naked as classical sculptures, they express actions and feelings with which the viewer identifies him/ herself. His faceless characters show a deep sadness, a sign of the restless life of people who live in times of high-tech civilization.

The differences between his sculptures and the western classical sculpture lie in the material construction of his figures. Leon Battista Alberti, in his “De Statua” (On Sculpture), the first Renaissance essay to transmit the sculpture techniques used in the past to contemporary generations, speaks of two totally different approaches to sculpture: the one “by adding” and the other “by removing”. The first approach, called “plastic”, is typically used when sculpting soft materials (clay, wax, plaster and so on); the latter is used when sculpting stones (it is widely known that Michelangelo believed that sculpture “is made by removing” and that “the one made by adding is similar to painting”).

On the contrary, Seo Young Deok created a sculpture method (by adding) by using a stiff material that cannot be shaped and does not follow the movements of hands. His great modernity is in this technical feature: his ability to create sculptures that can express the emotional intensity of classical statues by using a material and a technique that are only available in a high-tech society.

 

 

서영덕의 중독, 혹은 감염

박천남(성곡미술관 학예연구실장)

젊은 조각가 서영덕의 관심은 인체다. 인체에 대한 탄탄한 조형적 이해와 관심을 기본으로 세상이야기를 담아내고 풀어낸다. 연출을 통해 이야기를 설명적으로 전달하기보다는 조형화된 인물들의 동세와 표정을 통해 미루어 짐작케 한다. 사람 사는 세상이야기를 사람 형상을 통해 전하고 있는 것이다. 조각이든 세상이야기든 그에게는 사람이 기본이요, 중심이다. 작업을 관통하는 모티프 역시 사람이다. 다양한 이야기와 이런저런 표정의 사람이 만들어지는 서영덕의 산실(産室)에는 크고 작은 인체 형상이 가득하다. 두상, 입상, 흉상, 토르소 등 다양한 형식과 포즈의 남녀조각상들이 망라되어 있다. 서영덕의 인체에 대한 조형적 관심이 깊고도 넓음이다. 대부분이 누드 조각상인 이들은 모두 힘들다는, 이른바 용접술을 사용한 철조용접조각들이다. 사실 조각의 형식을 취하고 있지만, 엄밀히 말해 소조 과정을 거친 것들이다. 쇳덩어리를 주무르면서 인체를 성형한 것이 아니라, 쇠붙이를 하나하나 부분적으로 녹이고 이어 붙여나가면서 원하는 모양으로 완성한 것이다. 서영덕은 드로잉, 모델링, 캐스팅, 웰딩(welding) 등 시작에서부터 완성에 이르는 모든 과정은 전통/정통의 제작 과정을 충실히 따른다. 또 그 모두를 자신의 손으로 직접 마무리한다.


산고(産苦)라고 부르기에 손색이 없는 일련의 복잡하고 예민한 과정을 통해 태어난 그의 인체는 알 수 없는 뭔가에 중독, 혹은 감염된 듯 퀭한 모습이다. 전체적인 표정과 동세가, 세부적으로는 신체 각 부분, 특히 얼굴 부분의 표정이 그러하다. 한편 입을 굳게 다물고 눈을 지긋하게 감고 있는 얼굴 표정은 마치 구도자의 모습처럼 보인다. 실로 오랜 고행과 수행을 마친 수도자처럼 깡마른 표정들이다. 일체의 세속적 욕망과 욕정이 거세된, 조형적으로도 군더더기가 없는 절제된 표정과 표현으로 다가온다. 그러나 결코 편안한 느낌으로 다가오지 않는다. 젊은 남녀, 특히 청년의 표정에는 무섭도록 잔인한 무언가를 인내하고 있거나, 세상의 냉정하고 잔혹함에 대해 눈을 감아버리고 있음이 역력하다. 때론 잔인, 혹은 섬뜩하기도 하고 스스로 흉측하기도 하다. 일부 인체는 머리가 싹둑 잘려 있거나 신체가 부분적으로 뭉개져 있다. 실물보다 훨씬 큰 모습으로 바닥에 덩그러니 놓여 있는 청년 두상은 보는 편안함을 넘어 알 수 없는 공포나 두려운 무엇을 짐작케 한다. 동시대 일그러지고 위축된 청년들의 존재를 역설적으로 강조하고 부각시키려는 듯 엄청나게 커다란 크기로 제작한 것일까?


이와 같은 이런저런 표현이 가능한 것은 아마도 서영덕이 체인과 용접술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일반 주물 작업으로는 작가 특유의 조형적 고민과 이야기를 오롯이 담아내지 못한다. 부분적으로 캐스팅해서, 이른바 앗상블라주 형식으로 조합할 수는 있지만 통으로 그가 전달하고자하는 이야기를 떠낼 수는 없다. 서영덕의 조각들은 바닥에 놓이거나 벽에 부착되거나 천정에 달린다. 또 다른 의미에서 대단히 입체적이고 실험적이다. 그들은 모두 체인으로 뒤 덮여 있다. 소위 철인들이다. 체인 단편들로 피부조직처럼 인체를 감싸 안으며 하나하나 땀을 뜨듯 직조했다. 그의 조각은 조각의 기본 형식에 충실한, 실로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대단히 정신적인 작업이다. 체인 단편들과 용접술의 만남으로 지금의 서영덕 조각은 가능했다. 그들은 얽히고설킨 복잡한 세상처럼 끊임없이 서로를 물고 물리며 온 몸을 휘감고 있다. 서영덕의 작업은 이른바 체인 리액션(chain reaction)이다. 원하던 원치 않던 특정 분면과 좌표 상에 위치할 수밖에 없는 인간관계와 사회 구성원으로서 가지는 시스템과의 역학 관계 등을 생각하게 한다. 어떤 사건이나 현상으로 인해 원치 않는 영향을 받게 되는, 보이지 않는 연쇄반응을 짐작케 한다.


미술을 전공하건 타 전공을 하건 먹고 사는 문제와 진로문제는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산업 경제가 전반적으로 위축되고 상업 자본 중심으로 세상이 빠르게 재편되면서 기성은 물론 젊은 청년들의 사회 진출이 흡사 동맥경화 상태다. 심각한 사회문제인 청년실업이 그중 하나일 것이다. 서영덕은 일부 견고하게 사회 시스템 내에 붙어 있거나 한편으론 유리되기 시작하여 떨어져 나가버리는 사회 현실 풍경을 특유의 인체묘사를 통해 적나라하게 풍자하고 있다. 살아남기 위해 또 서로를 견디기 위해 맞물리면서 꿈틀거리는 현상과 현실을 표현하기 위해 찾은 재료가 체인이었다. 체인 단편들은 핀으로 박혀 있다. 다른 단편들과 하나의 핀을 공유하며 서로서로 연결되어 있다. 빛을 받는 각도에 따라 다양한 반사율을 보이는 등 우리네 삶의 모습과 닮았다. 그의 조각은 빛에 따라서 밝기가 다르게 빛나는, 표정이 살아 있는 다양한 이야기를 들려주는 움직이는 조각이다. 물론 실제로 움직이지 않는 오브제지만, 보는 각도에 따라서 다양한 변화를 보이는 움직이는 물체처럼 느껴진다. 많은 이해관계가 치밀하고 견고하게 교차하고 있어 벗어나려 해도 벗어나기 힘든 현실 풍경, 한계상황을 돌아보게 한다.


서영덕의 작업에서 두드러지는 것은 반복이다. 소재와 재료, 기법 등이 그것이다. 특히 절망과 고통의 반복, 가능성과 희망의 반복이 두드러진다. 반복과 집적으로 그러한 행위와 사고를 이어나간다. 그려나간다. 마치 희망의 별자리를 새겨 나가듯 인간 세상의 이런저런 기성 좌표를 침투해나간다. 조직적이기보다는 랜덤한 표정이지만, 한편으론 치밀한 조형적 탐색으로 보인다. 서영덕은 체인이라고하는 작은 단편 수 천 개를 용접봉으로 지지고 녹여 붙이며 지금의 형태를 만들어 냈다. 서영덕은 곪고 곪아 썩어 문드러진 불감의 세상, 인간을 지진다. 깨운다. 녹여 뭉뚱그린다. 수술하듯 봉합한다. 상처, 눈물, 아픔 등 잉여의 감정이 촛농처럼 뚝뚝 흘러내린다. 떨어뜨린다. 우리네 영혼을 잠식하는 기성의 볼썽없는 바이러스, 상업적 자본으로 대표되는 물질만능시대의 감염균과 치열하게 맞서고 있다. 싸우고 있다.


그의 인체는 대체로 견고하다. 그러나 무언가에 전염, 감염되어 속절없이 녹아 무너져 내리고 있다. 속이 꽉 들어찬 형상도 아니다. 일견 견고한 인체로 보이나 가까이 다가가면 성긴 모양으로 서 있다. 텅 비어 있다. 겉으로는 깔끔하게 마무리되어 있다. 이면을 들여다보면 용접술에 의해서 지져지고 뭉개지고 녹여져 있다. 기왕의 견고하게 연결된 체인과 체인을 한 번 더 달구고 지지고 녹였다. 잔뜩 성이나 있다. 흡사 부종(浮腫)처럼 불규칙한 용착상태를 보인다. 무언가에 의해 감염되고 그것의 전이가 빠르게 이루어져 온 몸이 썩고 있음이다. 겉으로는 담담한 표정이다. 속이 타들어가고 온 몸은 바이러스에 의해 감염되어 녹아들어가는 절대 절명의 한계 상황이다. 그러나 태연할 수밖에 없는, 불감의 단계를 연출한다. 어금니를 꽉 깨물고 있는 관골과 하악골이 분명하고 견고하게 드러난 깡마른 상태의 표정이다. 어쩔 수 없음을 용인하는 대단히 이성적인 포기, 불가항력적인 한계상황을 제시하고 있다.


서영덕의 실제 모델은 대한민국의 30대 남성이다. 불투명한, 절망적인 삶으로 몰아가는 비정한 현실 속 익명화된 청년 노동자의 이미지를 담으려 노력했다. 냉정하고 이성적인 양, 이를 악물고 눈을 감고 있는 표정이 대단히 역설적이다. 녹록치 않은 삶에 지친, 흐르는 침묵과 손을 쓰지 못하는 무기력한 한계상황이 감지된다. 서영덕의 청년들은 깊은 침묵 속에 잠들어 있다. 혹은 끊어질 듯 이어지며 아슬아슬하게 서로를 견디며 버티고 있다. 존재의 강한 깊은 침묵이다. 그의 인체는 모순되는 것들, 이해하기 어려운 것들, 받아들이기 어려운 현실, 세상의 모순되는 것들을 양립시키면서 각기 다른 방향과 질서를 보인다. 좌충우돌하며 부딪히기도 하고 따르기도 하면서 하나의 단단한 형태로 각자의 자리를 걷잡고 있다. 뼈와 속을 훤히 드러내고 일체의 감정을 철저하게 거세한 냉정한 표정, 감성을 제어한 깡마른 인물들의 얼굴 표정은 대한민국의 30대 후반 남성 노동자의 이미지로 지식/육체노동자를 포괄한다. 그들은 대단히 냉정하고 이성적으로 보인다. 냉랭한 기운이 흐른다. 시선은 눈을 감고 있다. 포기, 혹은 지친 표정일 수도 있다. 절대자에 대한 구원을 희구라도 하는 걸까. 노동과 노동 현실에, 노동을 할 수 없는 한계상황에 대한 고민과 생각, 혹은 미래의 모습들도 투영된다. 작가의 심정이기도 할 것이다. 서영덕은 이를 위해 실제 깡마른 모델을 대상으로 했다. 전두골, 관골, 하악골이 발달되어 있음을 볼 수 있을 것이다. 남자 나이 서른을 넘기면서 마흔을 바라보면서 지난 시절을 돌아보는, 이른바 ‘과거의 나’, ‘현재의 나’, ‘미래의 나’에 대한 여러 가지 생각이 교차하는 복잡한 표정이다. 그 속이 훤히 들여다보이면서 맞은 편 이미지와 여러 가지 조합을 보인다. 빛과 그림자가 빚어내는 다양한 표정이 흥미롭다. 그만큼 생각이 복잡하고 번민이 가득 차 있는 모습이다. 이들이 오버랩되며 수 많은 조합이 교차되는 그의 머릿속에는 그만큼 많은 세상이야기가 담겨 있는 것이다.


서영덕의 이야기는 바닥에 덩그러니 놓인 대형 두상으로 함축된다. 마치 수도사와도 같은 깊은 침묵으로 일체의 불필요한 감정을 던져 버리고 감춘 채 견고하고 놓여 있다. 서영덕의 그것은 세상을 향해 열려 있고 사방으로 마음을 통하고 있다. 무언가 분명 회복할 수 없는, 완전히 상실된 것에 대한 그리움을 인내하고 있다. 사회의 견고함에 대한 주관적인 대응이 아닌, 객관적인 대응을 보이고 있다. 용접봉으로 하나하나 지져나가면서 울분을 반추하고 마음을 걷잡고 녹이고 삭이며 비로소 희망을 본다. 땀땀이 이어나간 서영덕의 젊은 집념에 박수를 보낸다.

 

ADDICTION OR INFECTION OF YOUNG-DEOK SEO

TCHEON-NAHM PARK (HEAD OF FACULTY OF ART AND SCIENCE, SUNGKOK ART MUSEUM)

What a young artist Young-Deok Seo concerns is the human body. He offers and narrates stories based on substantial understanding and concerns about formation. The stories are inferred by molded motions and expressions of characters rather than conveyed by elucidative presentation. He is delivering stories of people’s lives through human figures. For him, man is essential and important as to no matter what is a sculpture or story. It, as expected, is man who is the motif in his work. His delivery room where various stories and men with diverse expressions are born is full of figures of the human body in different sizes. Male and female sculptures in various forms and postures which are head-sculptures, standing figures, busts, and torsos are brought together. This shows his deep and wide interests in formation of the human body. Most of them are nude sculptures, made by toiling to weld steel. They seem to be made by the way of carving, but, to be exact, by way of modelling. That is, the human bodies are not kneaded by rubbing and pressing lumps of iron, but completed by melting and linking them piece by piece. Young-Deok Seo, with his whole heart, follows conventional/legitimate production methods from beginning to the end, regards of such as drawing, modeling, casting, and welding. He does all the finishing touches by himself as well.


The human bodies, born through a series of complicated and intense process, as worthy as to be called birth pangs, look sunken as if they are addicted or infected by something unknown. So do their entire expressions and motions, each body part in detail, and facial expressions in particular. Meanwhile, the facial expressions, closing their mouth firmly and their eyes gently, look like a seeker. In fact, they are haggard like a seeker who has come through his long ascetic practice. They bear moderate expressions in which no excessive part is included as well as all earthly desires and passions are removed. However, they do not bear comfort at all. Among young men and women, it is obvious that men are especially enduring something scary and cruel, or are closing their eyes against the heartlessness and cruelty of the world. Sometimes, they are cruel, horrifying, and dreadful themselves. Some are with their heads chopped off or partly smashed. The head-sculpture of a young man, much bigger than its life-size being placed on the empty ground, suggests something afraid or unknown horror. Was it made so enormously huge as paradoxically to emphasize contemporary young men distorted and daunted?


These various expressions are able to be made because Young-Deok Seo uses chain and welding. For common molding cannot completely show the artist’s own formative concerns and stories. He can partly cast and combine them in the form of, so called, assemblage, at best, but cannot bail the story he wants to communicate. His sculptures are placed on the ground, attached to the wall, or hung on the ceiling. In another sense, they have numerous facets and are greatly experimental. They are all covered with chains. They are so called iron men. They are woven stitch by stitch. Seo wraps the bodies with fragments of chains which appear to be their skin cells. His sculptures are very spiritual work to be devoted to the basic form and to take a long time. The connection between welding and fragments of chains helps enable Young-Deok Seo’ work. They are coiling round the entire body, being in gear with each other as the world is intertwined and complicated. His work is so called ‘chain reaction’. It makes us think connections between people which are supposed to be placed on certain facets and coordinates no matter whether we want or not, and think dynamic relations with system which social members are supposed to have. It implies chain reaction invisible but inevitable to be affected by some incident or phenomenon.


Earning one’s bread and deciding on the career is not of recent occurrence not only for those who makes specialty of arts, but also for those of other fields. As industrial economics is on the whole depressed and the world is rapidly rearranged centering around the commercial capitalism, participation of the young in public affairs as well as the older generation becomes hardened. The unemployment of the young has become one of the serious social problems. Young-Deok Seo plainly satirizes, through depiction of the human body, the social reality that firmly sticks to the inside of social system or falls apart from it. It is chain which he chooses to describe the phenomenon and reality intertwined and wriggling so as to live through and to bear each other. Fragments of chains are fixed with pins. Every two of them are connected with sharing one pin. The fragments, stirring, tell us various stories with vivid expressions and shine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angle at which light hits them. Undoubtedly, the objet is in fact not moving at all, but feels like stirring and showing different phases depending on the angle at which we see it. This leads us to reflect upon reality and critical situation in which diverse interests are crossing each other so densely and firmly that we cannot avoid them.


What is manifest in Young-Deok Seo’s work is repetition. It is such as of subject, material, and technique. Repetition of despair and pain, and that of possibility and hope, in particular, appear frequently. He continues such an action and thought through repetition and accumulation. He keeps drawing. He intrudes this and that established index in human society as if he carves constellations of hope. He shows expressions in random rather than in arrangement, but on the other hand he seems to set up an intense formative search. He made thousands of tiny fragments of chains into the figures at present by searing, melting, joining them with a welding rod. Young-Deok Seo sears men and indifferent world which is festered and decomposed. He wakes them up. He melts and lumps them. He sutures them like a surgeon. Remainder sentiments from wounds, tears, and pains drip as if the candle is running. He lets them fall. He is intensely confronted with indecent viruses of the older generation which encroach our souls, and with infectious germs of a mammonish age represented as commercial capitalism. He is struggling.


His human bodies are firm on the whole. However, they are helplessly melting down by being infected or caught by something. They are not solid. They look like a stout body at a swift glance, but stand with their inside sparse at a close distance. They are empty inside. Their surface is smoothed. When looking through the inside, they are seared, crushed, melted by welding. The once strongly connected chains are heated, seared, melted once more. They are extremely upset. Like dropsy, they appear to be irregular deposition. It says that they are infected by something and its transfer so rapidly occurs that the entire bodies are being rotten. They look undisturbed outwardly. It is critical situation in a dead-end that their insides are being burn and their bodies melt by infection of viruses. However, they present a phase of indifference in which they are had no choice but to be calm. They are haggard. Their cheekbone and lower jaw-bone are conspicuously and firmly manifest, shutting their mouth tight. It suggests inevitable critical situation, pretty rational abandonment which admits inevitableness.


Young-Deok Seo’s model is a man in 30’s in South Korea. Seo tries to present the image of an anonymous young laborer in the heartless reality which drives him to an uncertain, hopeless life. It is paradoxical that he closes his eyes with his mouth shut, as if he is calm and rational. Helpless critical situation in a deadlock and overflowing silence due to being fed up with formidable life are perceived. His young men are sleeping in deep silence. Otherwise, they are bearing and being connected each other so dangerously enough to be broken down. It is a firm, deep silence of being. His bodies show different directions and orders, making, the opposites, things hard to be understood, and reality uneasy to be accepted, compatible with each other. The hard bodies are holding their own places, dashing this way and rush that, following each other. Revealing their bones and inside, their calm expressions thoroughly removed from all sentiments, and their facial expressions of haggard characters whose senses are under control, contain intellectual/manual workers as in the image of a man laborer in late 30’s in South Korea. There flows cold air. Eyes are closed. It could be abandonment or an expression of exhaust. Might they be seeking for salvation from the absolute being? What they looks like in the future, or considerations and thoughts about labor, reality of labor, and the limited situation that they cannot get a job, is reflected. This is also what the artist feels. Seo actually models it on a haggard man. It can be seen that the frontal bone, the cheekbone, and the lower jaw-bone are developed. It can also be seen that a man is looking back his past years over his 30’s before entering his 40’s and has complicated expressions in which various thoughts about ‘me in the past’, ‘me at present’ and ‘me in the future’ cross each other. It shows its inside and variously combines with the image on the opposite side. It is interesting that lights and shadows form various expressions. Hence, it seems full of worries and complicated thoughts. In Seo’s mind, there are as numerous stories about world as the bodies are overlapped and combined in various ways.


Seo’s stories are summarized as a large head-sculpture placed on the empty ground. Like deep silence of a monk, it is firmly placed, throwing away and hiding all the unnecessary sentiments. Seo’s is open towards the world and conveys his heart to every direction. It endures yearning for something that cannot be regained and completely lost. It shows an objective confrontation, not a subjective one, with firmness of society. He does not see a hope until he continues to sear steel one by one with a welding rod, looking back his pent-up anger, holding, melting, and mitigating his heart. Seo is worth to be applauded for his young devotion woven stitch by stitch.